Content Library
home
리뷰
home

다면평가 왜 도입하고, 어떻게 설계해야 할까요?

Updated
2022/03/24
Tag
다면평가
Tips
By
피플 사이언스 팀(People Science Team) content@lemonbase.com

다면평가 가이드북 Part 1. Plan

다면평가 프로세스 Plan: 다면평가 운영을 위한 제반사항(평가자 그룹 선정, 평가 문항 설계 등)을 준비하고 사전 안내 및 교육을 실시하는 단계 Do: 다면평가를 본격적으로 실시하고 결과를 취합하는 단계 See: 다면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최종 결과를 공유하는 단계 Follow-up: 평가자 및 피평가자는 다면평가 결과에 대해 1:1 피드백 면담, 자기개발계획 수립 등을 진행하며, HR은 최종 확정된 결과를 인사 제도에 연계하고, 만족도 조사와 감사(audit)를 진행하는 단계
다면평가 가이드북 Part 1은 다음과 같은 경우, 길잡이가 되어드리고자 레몬베이스가 작성했습니다.
✓ 하향평가의 공정성에 대한 구성원들의 문제 제기가 늘어나면서 다면평가 도입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고 판단하지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할 때
✓ '다면평가, A사는 올해부터 도입했다던데, 우리도 내년부터는 시범적으로라도 실시해봐야 하는 것 아닐까?' 고민될 때 ✓ 다면평가가 발등에 불로 떨어지기 전에 어떻게 설계하고 운영해야 할지 결정하는 토대가 될 지식을 미리 쌓아 두고 싶을 때 ✓ 다면평가를 도입하라는 상부의 지시가 떨어졌는데, 다면평가의 항목과 척도 등 세부 사항에 대해서 명확히 설명하고 보고할 자신이 없을 때
이때, 든든한 가이드가 될 수 있게 정확한 정보를 간결하게 전달하되, 종합적인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다면평가 도입을 고민하거나 제도를 설계할 때 준비 과정에서 확인해야 할 사항들을 아래 체크리스트에서 짚어보세요.
다면평가 도입 결정 및 설계 시 확인사항(checklist) □ 다면평가의 목적이 명확하다. □ 다면평가의 목적과 활용처를 구성원들에게 정확히 공지했다. □ 평가의 목적에 따라 피평가자를 선정했다. □ 피평가자가 평가자를 지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갖고 있다. □ 평가자의 익명성을 보장할 수 있다. □ 평가의 목적에 따라 항목을 선정했다. □ 척도별 특성을 이해하고, 적합한 척도를 찾았다. □ 편향이 생길 가능성을 이해하고, 방지책을 세웠다. □ 문항을 설계하고 제3자의 검증까지 마쳤다. □ 평가 실시에 앞서 준비할 수 있도록 구성원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했다.
 가이드북에선 위 체크리스트를 따라 관련 지식과 정보를 손쉽게 찾아볼 수 있어요!
 다면평가 가이드북 Part 1. Plan 다운로드
레몬베이스는 회사와 구성원의 건강한 성장과 성과 관리를 지원하는 비즈니스 소프트웨어(SaaS)를 제공합니다. 상호 피드백 및 360도 리뷰, 1:1 미팅, OKR 등 목표 관리를 웹 기반으로 편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레몬베이스 서비스 자세히 살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