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면평가 가이드북 Part 2. Do
다면평가 프로세스
Plan: 다면평가 운영을 위한 제반사항(평가자 그룹 선정, 평가 문항 설계 등)을 준비하고 사전 안내 및 교육을 실시하는 단계
Do: 다면평가를 본격적으로 실시하고 결과를 취합하는 단계
See: 다면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최종 결과를 공유하는 단계
Follow-up: 평가자 및 피평가자는 다면평가 결과에 대해 1:1 피드백 면담, 자기개발계획 수립 등을 진행하며, HR은 최종 확정된 결과를 인사 제도에 연계하고, 만족도 조사와 감사(audit)를 진행하는 단계
다면평가 가이드북 Part 2는 다음과 같은 경우, 길잡이가 되어드리고자 레몬베이스가 작성했습니다.
✓ 평가에 익숙지 않은 구성원들이 평가자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하도록 어떻게 안내해야 할지 고민될 때
✓ 구성원들이 평가자의 역량을 갖추도록 돕기 위해 유용한 피드백의 요건, 평가자로서 쉽게 빠질 수 있는
판단 오류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싶을 때
✓ 유의미한 평가 결과를 얻기 위해서 응답률을 높이고 불성실 응답을 방지할 수 있는 노하우가 궁금할 때
이때, 든든한 가이드가 될 수 있게 정확한 정보를 간결하게 전달하되, 종합적인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다면평가 도입을 고민하거나 제도를 설계할 때 준비 과정에서 확인해야 할 사항들을 아래 체크리스트에서 짚어보세요.
다면평가 운영 시 확인사항(checklist)
□ 응답에 15분 이상 걸리지 않도록 문항이 간결하게 작성되었다.
□ 구성원이 평가자의 역할을 숙지하고, 평가자로서 역량을 갖추고 있다.
□ 평가 항목과 척도에 대한 설명이 템플릿에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 구성원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리마인더를 제공했다.
□ 불성실 응답을 막을 수 있는 방안을 수립했다.
□ 분석에 앞서 취합한 평가 결과에 문제가 없는지 꼼꼼히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