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 Library
home
리뷰
home
🎯

목표를 실행에 옮기는 방법 - OKR과 KPI

Update
2021/06/23
Tag
목표 관리
Tips
By
피세영(People Scientist) sarah@lemonbase.com
목표와 핵심 결과(OKR)와 핵심성과지표(KPI), 둘 중 무엇이 더 성과를 제대로 측정하고, 더 나아가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론일지 고민하는 경영진과 인사 담당자를 심심찮게 만날 수 있습니다. KR 혹은 KPI를 어떻게 설정해야 할지 머리를 싸매는 구성원들도 많죠. 두 방법론 사이에 우열은 없고, 단지 특성이 다를 뿐입니다. 실제로 두 방법론을 혼합해 쓰는 회사들도 많습니다. 따라서 우리 회사와 팀의 상황에 맞게 활용하면 됩니다. 경영학의 구루, 피터 드러커가 저서 <경영의 실제>에서 목표와 자기 통제를 기반으로 한 경영 방식(MBO)을 강조한 이래로 현대 기업들은 저마다의 산업별, 규모별 특성에 따라 목표 관리 방식을 정해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중 성공한 기업의 사례가 국내에도 널리 퍼지고 있는데요, 대표적인 것이 바로 OKR과 KPI입니다.

OKR과 KPI 비교

OKR 혹은 KPI를 정하기에 앞서 개념을 이해한다면 좀 더 수월하게 작성할 수 있을텐데요. OKR과 KPI 각각을 간략히 소개하고 두 방법론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피터 드러커의 MBO(Management by Objectives and Self-control, 목표와 자기 관리에 의한 경영)와 에드윈 로크의 '목표 설정 이론'에서 큰 감명을 받은 인텔의 CEO 앤드루 그로브는, 인텔식 MBO 기법을 창안해 iMBO로 이름을 붙여 구성원들에게 전파했습니다. 인텔은 이 기법을 통해 사업적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당시 인텔에 재직중이던 존 도어는 iMBO에서 강조하는 목표와 핵심 결과를 통해 성공을 경험했고, 후에 벤처투자자로서 구글에 이 기법을 전달하게 되었습니다. 존 도어는 iMBO의 구성 요소였던 목표(Objectives)와 핵심 결과(Key Results)를 강조하여 'OKR'이라는 이름으로 이것을 전파했습니다.
한편, KPI는 기업의 성과를 평가하는 것에서 출발한 개념입니다. 조직 내 업무 중 가장 중요한 영역을 정의한 후, 그 업무의 업적을 평가할 기준을 측정 가능한 구체적/계량적 형태로 나타내고, 이것을 핵심성과지표(Key Performance Indicator)라고 이름 붙여 관리하는 방법론을 말합니다. 보통 KPI는 조직 성과관리 관점에서 단위 조직별 KPI를 설정하고 이를 개인 성과관리 체계에 연계하는 회사들이 활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OKR과 KPI를 활용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기업의 문화와 운영 중인 HR 제도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납니다. 위 표는 비교 편의상 Google의 OKR 시스템과 국내 대기업의 KPI 운영 방식을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레몬베이스를 활용한 목표와 핵심 과제(KR 혹은 KPI) 관리

레몬베이스는 OKR과 KPI 모두를 구현할 수 있는 툴입니다. 목표와 함께 ‘핵심 과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핵심 과제는 OKR의 핵심 결과(KR) 혹은 KPI의 양식으로, ‘목표에 얼마나 가까워지고 있는지 알 수 있는 기준이자 지표’를 입력하면 됩니다.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OKR, KPI 를 레몬베이스에서 어떻게 설정할 수 있는지 사례를 통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1) OKR을 활용하는 경우

먼저, OKR을 활용하는 A사의 '마케팅팀'의 예시를 살펴볼까요?

목표 설정하기

마케팅팀에서는 이번 분기에 달성할 Objectives로 '고객을 이해하고 고객행동을 완벽히 분석해낸다.'라는 가슴 뛰는 한문장의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핵심 과제 추가하기

위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핵심 과제'로 아래 세 가지 핵심 결과(KR)를 설정합니다. 이때, 측정 가능하고 구체적인 결과에 관해 서술합니다.
KR 1: 고객 대상 온라인 서베이를 20건 진행한다.
KR 2: 고객의 구매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파악하기 위한 Customer Journey Map을 완성한다.
KR 3: 전체 마케팅 채널을 분석하여 개선 Action Item을 최소 5개 도출한다.
A사 마케팅팀 OKR 일부

2) KPI를 활용하는 경우

그렇다면, KPI를 개인성과지표로 활용하는 B사의 '인재개발팀'은 레몬베이스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목표 설정하기

인재개발팀의 미션/비전과 당해년도 전략 과제를 참고하여 '핵심인재 리더십 교육 개발 및 고도화에 기여한다.'라는 목표를 설정했습니다.

핵심 과제 추가하기

인재개발팀이 관리하는 KPI Pool 중에서 이 과제의 달성 여부를 확인할 KPI를 찾아 추가하거나, 기존 Pool에 없는 경우 팀 내 논의를 통해 KPI 지표를 만듭니다. 그리고 KPI별 달성 기준을 지정해 '핵심 과제'에 추가합니다.
KPI 리스트와 목표 달성 기준 설정
교육 만족도 평균 점수: 80점 이상
세부 교육과정 개발 건수: 3건 이상
사내 강사 육성 실적(확보계획 인원 대비 실제 육성 인원 비율): 70% 이상
리더십 교육 논문 게재 건수: 2건 이상
B사 인재개발팀 KPI 일부
OKR을 활용하든, KPI를 활용하든 목표와 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핵심 과제를 설정하는 데에서 그쳐서는 안 됩니다. 지속적으로 핵심 과제별 진척도를 점검하고 우리 팀이 현재 목표를 향해 한방향으로 잘 나아가고 있는지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More to Read

존 도어 저/박세연 역/이길상 감수, <OKR 전설적인 벤처투자자가 구글에 전해준 성공 방식>
레몬베이스는 회사와 구성원의 건강한 성장과 성과 관리를 지원하는 비즈니스 소프트웨어(SaaS)를 제공합니다. OKR 등 목표 관리, 상호 피드백 및 360도 리뷰, 1:1 미팅을 웹 기반으로 편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레몬베이스 시작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