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 설정 가이드
“중요한 것은 큰 뜻을 품고 그것을 완수하기 위한 기능과 인내를 지니는 일이다.” 요한 볼프강 폰 괴테
큰 뜻, 즉, 구체적이고 어려운 목표를 세우는 것이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은 지난 수십년간의 연구를 통해 증명되었습니다. 존 도어의 저서 <OKR 전설적인 벤처투자자가 구글에 전해준 성공 방식>에 따르면, 심리학자 에드윈 로크는 1968년 발표한 논문을 통해 다음의 두 가지를 강조했습니다.
첫째, ‘어려운 목표’는 달성하기 쉬운 목표보다 성과 개선에 더 많은 도움을 준다.
둘째, ‘구체적인' 어려운 목표는 추상적인 어려운 목표보다 성과를 더 높여준다.
로크의 연구 결과, 도전적인 목표를 세운 근로자는 더욱 생산적일 뿐 아니라, 더 높은 열정과 동기로 업무에 임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짐 콜린스의 저서 <좋은 기업을 넘어 위대한 기업으로>에선 구체적이고 어려운 목표 혹은 도전적인 목표를 “크고 위험하고 대담한 목표(BHAG; Big Hairy Audacious Goals)”라고 일컫습니다.
“BHAG는 산처럼 거대하고 벅찬, 그리고 분명하고 강력한 목표다. 사람들은 당장 정상에 오르려 한다. 그러나 BHAG의 역할은 조직 전반의 집중력을 끌어모으고, 구성원 개인을 자극하고 팀 정신을 고취함으로써 모두가 결승점을 향해 달리도록 만든다.”
SMART Goals - 회사와 개인 목표 설정하는 방법
그렇다면, 어떻게 구체적이고 어려운, 혹은 도전적인, 혹은 크고 위험하고 대담한 목표를 세울 수 있을까요? 목표 설정을 위한 사고법으로 ‘SMART’가 자주 활용됩니다. S: Specific(구체적인), M: Measurable(측정 가능한), A: Achievable(달성 가능한), R: Relevant(관련된), T: Time-bound(기한이 있는) 목표인지를 따져봐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SMART Goals
- Specific(구체적인): 구성원 누가 읽어도 똑같이 인식할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표현해야 한다. 구체적인 수치로 나타낼 수 있으면 좋다.
- Measurable(측정 가능한): 현재 상태(달성 정도)를 알 수 있도록 정량화하고, 측정 방법도 명확하게 해야 한다.
- Achievable(달성 가능한): 구체적인 활동을 통해 달성할 수 있어야 한다.
- Relevant(관련된): 목표와 업무 간 연관성을 파악한다.
- Time-bound(기한이 있는): 목표를 달성하는 기한을 정한다.
그럼, 2012년 11월에 설정한 유튜브의 OKR(Objectives and Key Results, 목표와 핵심 결과)이 SMART한지 분석하면서 ‘SMART Goals’의 요건을 익혀보겠습니다.
2012년 유튜브 목표(Objective): 2016년까지 하루 시청 시간을 10억 시간으로 늘리기
2012년 11월 수립된 유튜브의 목표를 레몬베이스 목표 제품에 입력한 화면 캡처. 목표와 핵심 과제(핵심 결과 혹은 핵심성과지표)마다 담당 조직과 담당자를 지정할 수 있다.
•
[Specific] 목표를 달성하면 얻을 수 있는 성과가 구체적인가?
◦
하루 시청 시간을 10억 시간으로 늘린다는 목표는 목표를 설정한 당시의 10배에 달하는 수치다. 또, 이는 전 세계 TV 시청 시간의 20%와 같다.
◦
조회 수나 클릭 수 대신 시청 시간을 기준으로 삼은 이유는 더 많은 사람이 더 많은 시간 유튜브를 통해 동영상을 시청하면, 광고 수는 늘고, 광고 수의 증가는 콘텐츠 생산자에게 더 많은 사람이 더 많은 시간 동안 시청할 영상을 제작할 동기를 부여하여 다시 시청 시간을 늘리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다양한 활동이 서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면,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를 뽑아낼 수 있다. (이같은 선순환 구조를 구상할 때, ’베조스의 냅킨(아마존의 창업자인 제프 베조스가 사업계획을 구상할 때 종이 냅킨에 그린 비즈니스모델)’을 참고할 수 있다.)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조스가 그린 선순환 구조> 비즈니스의 성공은 고객 경험에서 비롯된다. 좋은 고객 경험이 더 많은 고객을 유치하고, 더 많은 고객이 더 많은 판매자를 모으고, 더 많은 판매자는 더 많은 상품을 구비하게 하고, 더 많은 상품이 다시 더 좋은 고객 경험을 가져오게 하는 구조다.
•
[Measurable] 목표는 측정 가능한가? 어떻게 측정할 수 있나?
◦
하루 시청자 수와 시청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
[Achievable] 구체적인 활동을 통해 목표를 달성할 수 있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 알고 있나?
◦
시청 시간을 기준으로 최적화한 추천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하루 10억 시간의 유튜브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송신 대역폭을 확보해야 한다.
•
[Relevant] 업무가 회사의 미션과 연관되어 있는가?
◦
유튜브의 사명은 ‘더 많은 사람이 참여해서 더 오랫동안 머무르도록 만드는 것에 있다’고 판단했다.
•
[Time-bound] 목표는 언제까지 달성해야 하나?
◦
점진적인 연간 목표와 분기별 핵심결과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4년짜리 OKR을 세웠다.
SMART는 회사뿐 아니라, 개인이 목표를 설정할 때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개인 목표는 구성원 개개인이 회사의 목표를 염두에 두고 스스로 설정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회사 및 팀 목표와의 정렬을 확인하거나, 경력 관리를 위한 코칭을 받으려면 적어도 직속 팀 리더와는 개인 목표를 공유할 것을 권합니다.
레몬베이스 목표 제품으로 회사/조직/개인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내 목표’ 메뉴에서 개인 목표를 입력하는 화면 예시. 예를 들어, ‘하루 시청 시간을 10억 시간으로 늘리기’란 2016년 말 회사 목표 달성을 위해 유튜브의 엔지니어들은 시청 시간을 0.2퍼센트(%)라도 늘리기 위해 다양한 변화를 시도했다. 레몬베이스의 ‘내 목표’ 메뉴에서 각 사 목표 관리 제도에 따라 특정 목표를 전체 공개하거나 일부 팀이나 구성원만 볼 수 있게 일부 공개하도록 공개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아웃도어 패션 브랜드 파타고니아의 경우,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회사의 연간 목표를 설정하고, 구성원 개인별로 분기 목표를 수립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연간 목표를 통해 당해 집중해야 할 3~6개의 업무 분야를 파악하고, 구성원 개인이 분기별로 도전적인 목표(stretch goals)를 설정하면 됩니다. 이 개인별 목표는 전사에 공개되나, 팀장의 승인을 받을 필요는 없습니다. 이를 통해 파타고니아는 전사의 연간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개인이 어떤 일을 할 수 있을지를 예측하고, 이런 일을 해내기 위해 필요한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습니다.
회사 목표와 팀(조직) 목표를 정렬(align)하는 방법
회사의 목표를 정했다면, 이와 정렬된 팀의 목표는 어떻게 설정해야 할까요? 목표를 정렬해야 한다고 하여, 회사와 팀의 목표가 꼭 같은 말로 표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즉, OKR 방식으로 목표를 설정한다면, 팀의 목표(Objective)가 곧 회사의 핵심 결과(KR; Key Results) 중 하나가 되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란 뜻입니다. 예를 들어, 회사의 목표 달성도를 측정할 수 있는 KR 중 하나가 “신규 고객을 전 분기 대비 10% 더 유치한다”일 때, 마케팅팀의 목표가 이 문장 그대로를 따를 필요는 없습니다. 이 때 마케팅팀의 목표는 “(신규 고객인) 20대 초반이 열광할 신규 브랜드를 런칭한다"가 될 수도 있는 것이지요.
회사 목표 달성도를 측정하는 핵심 결과(KR)를 특정 조직이 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내 패션 플랫폼 1위 자리 굳히기에 들어간다.’란 A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마케팅팀은 ‘신규 고객을 전 분기 대비 10% 더 유치한다.’란 핵심 결과를 이루기 위한 활동들을 계획하고 실행하게 된다는 의미다. 레몬베이스 목표 관리 제품 화면 캡처.
레몬베이스 목표 제품을 통해 회사 목표에 연결된 조직 목표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사의 마케팅팀은 ‘국내 패션 플랫폼 1위 자리 굳히기에 들어간다.’란 회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20대 초반이 열광할 신규 브랜드를 런칭한다.’란 조직(팀)의 목표를 수립할 수 있다. 레몬베이스 목표 관리 제품 화면 캡처.
디자인, 기술, 재무 등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팀들이 회사의 목표에 어떻게 기여해야 할지를 파악하여 각 팀의 목표를 설정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예를 들어, 회사의 연간 목표가 “지난해 대비 2배의 매출을 올린다"라면, 기술팀의 목표 중 하나는 “영업팀이 목표를 달성하도록 돕는다”가 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이 목표가 달성되었다고 확인할 수 있는 핵심 결과입니다.
•
2분기에 예상되는 주요 계약 다섯 가지를 위한 영업 지원 제공
크리스티나 위드케의 저서 <구글이 목표를 달성하는 방식 OKR>에서 제시된, 기술팀의 매출 기여도를 정량화하기 위한 질문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이 질문들에 답하면서 목표가 보다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형태로 자리 잡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주요 계약’과 덜 중요한 계약 사이의 차이점이 있나?
◦
주요 계약은 ‘첫해 잠재수익이 10만 달러 이상 예상되는 거래'로 정의한다.
•
기술팀장과 영업팀장은 ‘주요 계약'에 대한 정의에 동의하나?
◦
이 정의를 영업팀장에게 알리고 동의를 얻는다.
•
‘영업 지원'을 하면서 기술팀이 의도하는 결과는 무엇인가? 영업 지원을 했던 다섯 개의 거래가 모두 체결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 그렇더라도 기술팀은 목표를 달성한 건가?
◦
기술적인 문제로 계약이 체결되지 않으면, 기술팀은 목표 달성에 실패한 것으로 간주한다. 기술팀이 매출에 기여하는 정도를 ‘기술 통과율’로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해 잠재수익이 10만 달러 이상의 계약이 10개 있는데, 8개가 기술적인 문제 없이 체결된다면, 통과율은 80%라고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면서 핵심 결과는 아래와 같이 고쳐 쓸 수 있습니다.
•
2분기에 예상되는 주요 계약 다섯 가지를 위한 영업 지원 제공 → 첫해 잠재수익이 10만 달러 이상 예상되는 거래의 기술 통과율을 2분기에 X%에서 Y%로 높인다.
또, 팀의 목표 수립에 팀원이 참여하도록 하면 구성원들의 몰입도를 더 높일 수 있습니다. 갤럽의 조사에 따르면, 팀의 목표 설정에 팀원이 참여하도록 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업무에 몰입할 가능성이 3.6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More to Read
•
존 도어, 래리 페이지 저, 박세연 역, <OKR 전설적인 벤처투자자가 구글에 전해준 성공 방식(2019)>, 세종서적
•
크리스티나 위드케 저, 박수성 역, <구글이 목표를 달성하는 방식 OKR(2018)>, 한국경제신문
•
아마노 마사루 저, 김윤경 역, <OKR 실천편(2019)>, 한국경제신문
•
Chris Mason, Transforming Performance at Patagonia, <Performance Management Transformation(2020)>, Oxford University Press